전체 글20 AI 윤리감시관, 기술이 만든 새로운 직업의 실체 1. 인공지능이 내리는 결정, 과연 공정한가?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면서, 인공지능은 사람 대신 판단을 내리는 도구로 빠르게 자리잡고 있다. 기업의 채용 시스템부터 신용등급 산정, 보험료 계산, 의료 진단까지 AI가 개입하는 분야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겉보기에는 객관적인 수치를 기반으로 움직이는 듯하지만, AI가 내린 판단이 언제나 공정하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이미 세계 여러 연구기관과 대학에서는 알고리즘이 학습하는 과정에서 기존 사회의 편견이 그대로 반영될 수 있다는 점을 여러 차례 지적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서의 범죄율을 학습한 AI가 해당 지역 거주자에게 높은 범죄 가능성을 자동으로 부여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다른 사례로, 남성이 주로 종사해온 직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한 인공지능.. 2025. 3. 22. 미래 도시의 쓰레기 관리자? 스마트 환경청소사의 등장 1. 스마트시티의 부상과 환경 청소의 재정의스마트시티의 등장은 단순한 기술 진보를 넘어 도시의 모든 인프라를 재구성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전통적인 도시가 사람의 손과 눈으로 운영되었다면, 스마트시티는 데이터와 알고리즘, 자동화 시스템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변화는 청소와 환경관리 분야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 환경청소사’라는 새로운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기존의 청소 업무는 단순 반복적인 육체노동이 중심이었다. 하지만 스마트시티가 구현되면서, 도시 곳곳에 설치된 센서들이 실시간으로 쓰레기량을 감지하고, AI 기반의 경로 최적화 알고리즘이 청소차량의 이동 동선을 설계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를 해석하고 기계와 연동되는 청소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는 전문가가 필요해졌.. 2025. 3. 22. 이전 1 2 3 4 다음